매끄러운 릴링감과 파워
지속적으로 그 성능을 유지!

가볍고, 부드러움도 있으면서, 강도 더해진 회전, 그리고 그 회전을 초기 단계로부터 변함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다이와가 심혈을 기울인 것이 이 새로운 설계의 기어 시스템. 다이와의 독자적인 기어 기술이 앵글러를 지원한다.

정밀한 치면의 기어

드라이브 기어, 피니언 모두 내구성을 업. 한층 더 내구성에 직결하는 기어의 치아 모듈(크기)은, 작게는 하지 않고 톱니의 접촉 율을 높인 설계. 수고를 아끼지 않고, 톱니 면을 하나하나 정밀하게 깎아내는 것으로 톱니가 단단히 맞물려, 매끄럽게 회전을 전달한다. 드라이브 기어, 그리고 피니언 모두 진화시킨 것으로, 지금까지 없었던 베이트릴에서의 권사 성능을 실현하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 사이즈를 5.2% 업

22SALTIGA에는, 신설계 기어 시스템 하이퍼 드라이브 디지 기어를 탑재. 게다가 그것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압도적인 감기 파워를 요구해, 드라이브 기어 사이즈의 대구경화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기어 박스 기어 샤프트 피니언에 이르는 내부 부품의 설계 재검토가 강요되었다. 한편, 최대한 컴팩트하게 마무리하는 것도 동시에 구하여, 이들을 양립하는 최적의 사이즈를 도출했다. 22SALTIGA에 탑재한 드라이브 기어는 기존 모델 대비 5.2% 확대. 회전 성능을 철저히 닦은 21SALTIGA IC300과 비교하면 14.4% 업이 되고 있다. 과거 최대급의 드라이브 기어를 통합한 22SALTIGA. 압도적인 감기 파워를 체감해 주었으면 한다.

회전 노이즈 비교

감을 때 기어 노이즈(핸들 회전 시에 느끼는 까끌함 등)의 측정 결과. 흔들림의 폭이 작을수록 노이즈가 적음을 의미한다. 기존의 기어와 비교하여 하이퍼드라이브 디지기어의 노이즈 레벨은 50% 이하로 크게 감소(당사비). 부드럽고 조용한 릴링감을 체감할 수 있다.

HYPER DRIVE DIGIGEAR 이론

기존의 맞물림 (이미지)
HYPER DRIVE DIGIGEAR 맞물림(이미지)
드라이브 기어의 모듈은 소형에 지나지 않는 사이즈를 표준화. 톱니 면은 최적의 압력각이 되는 발렛형 실루엣으로 완성하여 피니언과 낭비 없이 효율을 높인 맞물림 율을 실현. 기존, 톱니 면이 최대 2번 접촉하는 맞물림을 3번의 접촉으로 목표 했다. 보다 완만한 압력각이 매끄러운 회전과 뛰어난 내구성을 양립하는 시스템이다. 톱니 면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회전 느낌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드라이브 기어가 대형이 되어 파워를 늘린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또한 피니언의 회전 정밀도가 향상되는 것만으로도 결정타가 부족하다. 하나로는 각각이 실로 뛰어난 역할을 해도 밀접한 관계에 있는 양자를 서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숙련된 팀워크가 필요하다. 돌파구를 여는 열쇠는 직접의 접점이 되는 톱니 면에 숨겨져 있었다.

그것이 톱니 면의 '압력각'이라는 DAIWA 독자적인 지휘였다. 부드러운 회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톱니 면에 의한 높은 수치의 맞물림의 확률이 요구된다. 기존에는 톱니 면의 자체의 갯수를 늘리면서 각각 치아의 높이를 늘려 우수한 성능으로 연결되어 왔다. 그런데 사실 그만큼 머무르지 않고 제3의 발상, 맞물림율을 올리는 “압력각”이 남아있던 것이다. 압력각이란, 톱니 면이 세워진 각도. 톱니 면이 일어날수록 접촉점이 늘어나서 맞물림이 향상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이 맞물려 회전을 촉진할 때 각각의 톱니 면이 최대 2번 접촉하는 메커니즘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DAIWA의 압력각은 2번 접촉하는 작용 선에서 최대 3번의 접촉을 촉구하는 것을 이상으로 했다. 또 접촉이 분산된 것으로 톱니 면의 내구성 향상에도 이어지는 부산물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 이상적인 압력각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 구동력이 필요한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의 맞물림 부분. 앵글러에 의한 핸들로부터의 입력을 드라이브 기어가 받아들이고, 스풀에 직결하는 피니언의 회전으로,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톱니 면의 '압력각'이라는 DAIWA 독자적인 지휘였다. 부드러운 회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톱니 면에 의한 높은 수치의 맞물림의 확률이 요구된다. 기존에는 톱니 면의 자체의 갯수를 늘리면서 각각 치아의 높이를 늘려 우수한 성능으로 연결되어 왔다. 그런데 사실 그만큼 머무르지 않고 제3의 발상, 맞물림율을 올리는 “압력각”이 남아있던 것이다. 압력각이란, 톱니 면이 세워진 각도. 톱니 면이 일어날수록 접촉점이 늘어나서 맞물림이 향상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이 맞물려 회전을 촉진할 때 각각의 톱니 면이 최대 2번 접촉하는 메커니즘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DAIWA의 압력각은 2번 접촉하는 작용 선에서 최대 3번의 접촉을 촉구하는 것을 이상으로 했다. 또 접촉이 분산된 것으로 톱니 면의 내구성 향상에도 이어지는 부산물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 이상적인 압력각을 실현하고 있는 것이 구동력이 필요한 드라이브 기어와 피니언의 맞물림 부분. 앵글러에 의한 핸들로부터의 입력을 드라이브 기어가 받아들이고, 스풀에 직결하는 피니언의 회전으로,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피니언의 진화

피니언의 내식성 시험 결과 - 기존(좌) : 최신(우)
하이퍼드라이브 디지기어에서는 피니언도 극적으로 진화했다. 드라이브 기어와 쌍을 이루는 피니언은 베이트릴에서 드라이브 기어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 부품. 그 기어의 톱니 면은 드라이브 기어와 같이 정밀하게 깎아내어 함께 특수 소재를 채용. 부식, 고착, 결손 등의 트러블이 급감한다. 위의 2장의 사진은 가혹한 환경 속에서 계속 사용하는 것을 예상한 시험의 결과. 왼쪽의 기존 형태의 톱니 면에는 미세한 소금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소금이나 모래알이 남아 뻑뻑하여 기어 톱니고장의 원인이 된다. 한편, 오른쪽의 새로운 형태의 치면에는 소금이나 모래알 등이 남이 있는 것 없이, 기어의 회전 성능도 내구성도 오래 지속됩니다.

매끄러움의 지속과 감기의 가벼움!

피니언 지지 구조의 혜택

피니언 양쪽을 2군데의 볼 베어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핸들을 돌리는 파워를 감쇠시키지 않고 스풀 회전을 전하는 중요한 기구가 하이퍼 더블 서포트. 릴링 파워의 효율적인 전달을 향상시켜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도 강력한 회전 느낌을 체감할 수 있다. 이번 드라이브 기어의 대구경화에 따라 피니언 지름도 기존 모델 대비 6.2% 확대했다. 한층 더 처음 회전하는 힘도 약 20% 경감하여 NO.1 클래스의 회전으로 가벼운 조작을 자랑한다. 고부하의 경우에는 물론 조금이라도 틈을 채우고 싶을 때 발휘되는 파워의 근원이다.

기어와 스풀을 고정밀, 고강성으로 지지.
군더더기 없는 바디 디자인

견고함에서 나오는 뛰어난 성능 골격

스풀, 기어, 샤프트 등의 내부 구조를 고정밀도, 고강성으로 확실히 지지해 고부하 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흔들리지 않고, 접지 않는 것으로, 파워에 연결된다는 생각 에서 태어난 하이퍼 암드 하우징 (FULL-AL). 그 조건은 프레임에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22SALTIGA 15/15-SJ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을 채용하여 올 머신 컷 제법에 의한 풀 절삭으로 비할데 없는 견고한 고강성을 실현.

부드럽게 작동하는 고내구성 클러치 시스템

고내구성 클러치

오랫동안 사용해도 문제가 나오지 않는 것. 그것이 신뢰로 이어진다. 해수 장르에서 사용하는 베이트 릴의 클러치는 장기 사용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곳이다. 그런 부분의 트러블리스를 목표로 한 결과, 몇번이나 가동하는 클러치의 ON/OFF에 견디고, 부드럽게 작동하는 뛰어난 내구성의 클러치 구조를 마침내 실현했다. 클러치 레버를 ON⇔OFF로 ​​바꾸는 것으로, 내부 부품이 순간에 가동하여 피니언과 스풀을 분리해 연동하는 하나의 시스템. 스풀 프리나 릴링 동작으로 옮기기 위한, 바로 동작의 중심이 된다. 클러치 트러블의 주된 원인은 스풀과 바디 프레임의 틈새로부터 침입하는 해수에 의해 내부의 클러치 시스템이 부식이 고착되는 것. DAIWA는 오랫동안 클러치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이 하이퍼 터프 클러치에서 하나의 완성된 형태에 도달했습니다.

클러치 조작성조차도 개선

기존 모델에서는 클러치 조작 시(ON⇔OFF), 엄지의 가동 영역이 넓은 것을 인지했다. 이것이 제품의 피로 축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라고 가설 세워 클러치 조작성의 개선에 실행했다. 실시한 것은 크게 두 곳. ON ⇔ OFF 시의 클러치 레버 작동 영역의 각도 개선. 그리고 클러치 레버 형상의 쇄신. 파밍 쪽의 엄지로도 닿는 클러치 레버의 높이·폭·길이 등을 검증해 철저히 성장했다. 조금이라도 신경이 쓰이는 부분은 철저히 분석하여 최적화를 이끌었다. 모든 앵글러가 느끼는 부담감을 줄이고자 노력했다.

목표로 한 것은, 클러치 내구성의 향상.

피니언과 함께 가동하는 부품이 존재한다. 그것은 클러치 플레이트. 클러치 내구성을 한층 더 향상을 목표로, 이 부분에 주목했다. 기존과 같이, 고강도로 내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소재와 새롭게 다른 소재의 클러치 플레이트를 거듭한 2장으로 구성을 채용했다. 이것은 2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우선은 절연체 부품으로서의 역할. 스테인리스 소재의 클러치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직접 긁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내식성의 향상을 실현. 다른 하나는 클러치를 작동시킬 때 마찰 저항을 줄인다. 기존의 스테인리스 1장의 구성이라면, 어느 정도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클러치를 OFF로 하고 싶어도 좀처럼 끊어지지 않는 것이 있었다. 그것은 금속끼리의 마찰 저항 때문이다. 대폭 개선한 클러치 구조를 앵글러들이 필드에서 체감했으면 한다.

DAIWA WITH PEOPLE

GET SO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