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에 필요한 것은 ‘UTD’라는 안심감
드래그의 기능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고 자신합니까?

드래그의 기능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고 자신합니까?

루어를 바꾸면 드래그 조절을 다시 한다. 라인을 바꾸면 또 드래그 조절을 한다. 낚시터의 수심이 깊어지면 또다시 드래그을 조절한다…. 실은 드래그는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다. 실천하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자주 조정함으로써 낚시의 조작성은 전혀 달라진다. 드래그의 역할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자 한다. 드래그란 물고기의 강렬한 당김이 있을 때 어느 정도의 힘이 더해지면 라인이 잘리지 않게 스풀이 회전하여 라인을 보내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물고기가 루어에 걸렸을 때 물고기의 당기는 힘의 영향을 가장 받는 것이 라인과 로드이다. 로드가 부드럽게 휘면서 라인이 받은 힘을 흡수해준다. 하지만 큰 물고기나 가로세로 무작위로 달리는 물고기에는 드래그 성능이 큰 역할을 한다. 물고기에 부하를 걸면서 라인을 내보내어 헤엄치게 함으로써 물고기의 체력을 빼앗아 서서히 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드래그는 단순히 라인을 내보내는 것으로 좋은 것이 아니다. 라인을 보내줄 때 필요한 만큼 나가고, 멈추고 싶을 때는 멈춘다. 이것이 드래그에 요구되는 성능인 것이다. 드래그의 힘은 낚시인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낚시터의 상황이나 어종에 맞춰, 어느 정도의 당기는 힘에 맞춰서 라인을 내보낼 것인가를 자신이 결정할 수 있다. 당신은 드래그의 기능을 능숙하게 사용 할 자신이 있는가?

드래그에 걸리는 초기의 부하를 해소하고 싶다!

다이와의 드래그는 본래 ‘피네스’와 ‘하이퍼’의 2종류로 나뉘어 진다. 피네스 토너먼트 드래그는 트라우트, 배스라고 하는 가는 라인을 사용하는 섬세한 낚시에 걸 맞는다. 라인이 끊어지지 않도록 작은 힘으로도 드래그가 원활하게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비해 하이퍼 토너먼트 드래그은 등푸른 어종이나 만새기와 같은 강렬한 당김을 보여주는 물고기에 적합하다. 강한 힘에 지지 않는 드래그이다. 각각 특기의 영역이 다르므로 이러한 드래그을 잘 구분하여 사용하면 어떠한 물고기에도 주도권을 빼앗기는 일은 없을 것이다. 드래그의 설정은 라인 강도의 1/3~1/4정도라고 말하지만 실제는 낚시인 각각이 자신이 좋아하는 취향에 맞게 끔 조절하고 있을 것이다.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는 ‘낚시감각’을 살리는 드래그 조절은 어떤 의미로는 낚시인의 기량이 돋보이지만 “UTD”등장 하기 전까지, 드래그는 ‘낚시감각’ 만으로는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것은 드래그가 걸리기 시작하는 초기에 라인방출에 부자연스러움이 생겨난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다이와는 모든 드래그의 성능을 대폭 개량했다. 워셔나 그리스를 처음부터 재점검하여 물고기가 걸린 직후의 드래그의 불규칙함을 억제하고 라인이 안정되고 부드럽게 내보낼 수 있게 구조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리고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2010년부터 다이와가 설정한 지금까지 것에 비해 한 단계 높은 기준을 클리어한 드래그를 ‘UTD(얼티메이트 토너먼트 드래그)’라고 칭한 것이다.

선택된 드래그만이 ‘UTD’의 이름을 이어받을 수 있다.

한단계 높은 ‘기준’을 클리어한 것 만이 ‘UTD’ 라고 부를 수 있게 한 것은 앞서 말한 것과 같지만 알고 있어야 할 것은 ‘피네스’에도 ‘하이퍼 토너먼트’에도 ‘UTD’가 있다는 것이다. 워셔의 재질에 맞는 그리스를 개발하여, 더욱 그 구성을 생각한다. 반복된 검증을 거쳐, 다이와의 이상에 맞는 기준을 만족시킨 ‘피네스’와 ‘하이퍼’의 드래그 만이 ‘UTD’의 칭호를 얻을 수 있다. 조절에 틀림이 없다면 그 드래그가 가진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 다이와의 고집이고 ‘UTD’를 쓰는 의미인 것이다.
낚시에 있어서 드래그의 중요성은 독보적이다. 지금 다시 생각해 보면 그 존재의 감사함이 더욱 더 느껴진다. 그리고 ‘UTD’라는 칭호를 부여한다는 구조가 다이와의 모든 드래그의 성능을 급속하게 올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것이 또 하나의 혁신이다.

DAIWA WITH PEOPLE

GET SOCIAL